[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식별자 그리고 동등성과 동일성에 관하여
·
독서
식별자객체가 식별 가능하다는 것은 객체를 서로 구별할 수 있는 특정한 프로퍼티가 객체 안에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이 프로퍼티를 식별자라고 한다.  모든 객체가 식별자를 가진다는 것은 반대로 객체가 아닌  단순한 값은 식별자를 가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값과 객체의 가장 큰 차이점은 값은 식별자를 가지지 않지만 객체는 식별자를 가진다는 점이다. 값숫자, 문자열, 날짜, 시간, 금액 등과 같은 변하지 않는 양을 모델링한다. 흔히 값의 상태는 변하지 않기 때문에 불편 상태(immutable state)를 가진다고 한다. 값의 경우 두 인스턴스의 상태가 같다면 두 인스턴스를 같은 것으로 판단한다. 상태를 이용해 두 값이 같은지 판단할 수 있는 성질을 동등성(equaliy)이라고 한다. 상태를 이용해 동..
[우리는 여전히 삶을 사랑하는가, 에리히 프롬] 우리는 여전히 삶을 사랑하는가
·
독서
우리는 여전히 삶을 사랑하는가?진정으로 살아 있다고 실감하려면스스로 생각하고 느끼고활동적일 수 있는 자기 나름의힘과 멀어지지 말아야 한다.우리는 여전히 삶을 사랑하는가? 활력과 체험을 제공하는 온갖 서비스로 인해 우리는 자신이 얼마나 활력과 내적 활동성을 잃어버렸는지 깨닫지 못하고 있다. 고통은 인생의 최악이 아니다. 최악은 무관심이다. 고통스러울 때는 그 원인을 없애려 노력할 수 있다. 하지만 아무 감정도 없을 때는 마비된다. 프롬이 생각하는 사랑은 생명력(삶)을 향한 관심을 담고 있다.생명은(...) 성장하고 표현하며 스스로 살아가는 성향이 있다. 성장과 변화가 없으면 죽음 뿐이다. “진정으로 삶을 사랑한다”고 말한다면 대부분은 그게 무슨 뜻인지 잘 안다. 그 말을 들으면 우리는 성장하고 생명력이 넘..
몰입[1]
·
독서
플로우팸이 일에 빠졌을 때 그녀의 의식 속에 들어오는 모든 정보는 그녀의 관심과 일치한다. 플로우는 심리적 엔트로피의 정반대 개념인데, 이런 까닭에 네겐트로피(negentropy)라고 불리기도 한다. 플로우 상태에서 우리는 심리적 에너지를 통제할 수 있다. 플로우가 가져다주는 큰 기쁨을 향유하기 위해서는 암벽 등반가가 보여주는 것과 같은 아주 집중된 주의력이 필요하다. 복합성과 자아의 성장복합성이란 두 가지 심리적 과정을 거친 결과이다. 이 두 과정을 각각 분화(differentiation)와 통합(integration)이라고 부른다. 분화라는 것은 자신을 유일하고 고유한 존재로 여기며 나아가려는 움직임으로, 자신을 다른 사람에게 분리하려고 하는 경향을 말한다. 한편 통합이라는 것은 그 반대의 경우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