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tity, DTO, VO 차이
·
Programming/Spring
Entity 실제 DB table과 1:1 mapping 되는 Class - Domain Logic만 가지며 Presentation Logic을 가지고 있어서는 안된다. - Spring 3 Tier인 Persistence, Buseniss, Presentation Tier 중 Persistence Tier에서 사용 - Setter 지양. 객체의 일관성. 변경되게 되면 다른 Class에 영향(실제 테이블과 매핑되기 때문) DTO(Data Transfer Object) 계층 간 데이터 교환을 위한 객체 - getter, setter 메소드만 갖는다. 다른 로직은 없다. - DB의 데이터가 Presentation Logic Tier로 넘어올때는 DTO로 변환되어 오고가는 것 - View와 통신하며 자주 변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