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프라인 프로토콜은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전송하며, ACK를 기다리지 않고 다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효율적인 흐름 제어 방식입니다.
TCP는 데이터를 전송할 때 파이프라인 방식을 사용하며, 이 방식에는 Go-Back-N과 Selective Repeat 기법이 있습니다. TCP는 두 기법을 혼합하여 신뢰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구현합니다.
Go-Back-N 방식은 receiver 측에서 순서대로 받지 못한 패킷이 있다면 해당 패킷부터 다시 재전송 하는 방식이다.
Selective Repeat 방식은 receiver 측에서 받은 각각의 패킷들에 대해 ACK을 보내는 방식이다.
요약
전송후 대기 프로토콜은 패킷을 전송하고 그 패킷에 대한 수신 확인 응답을 받고나서,다음 패킷을 전송하는 방식 입니다. 이러한 방식은 네트워크 링크 이용률이 낮아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파이프라이닝 프로토콜은 전송한 패킷에 대한 수신 확인 응답을 받지 않고도, 여러 개의 패킷을 연속으로 전송하여 링크 이용률과 전송 속도를 높이는 프로토콜 입니다.
회고
HTTP1.1의 파이프라인과 일반적인 파이프라인 프로토콜의 개념 차이가 있는지 궁금해졌다.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다.
- HTTP/1.1 파이프라이닝은 요청-응답 지연을 줄이기 위한 HTTP 레벨의 최적화 기법입니다. 하지만 구현 문제와 HTTP/2, HTTP/3의 등장(멀티플렉싱)으로 대체되었습니다.
- 일반적인 파이프라인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전송의 핵심 개념으로, 현재도 TCP나 HTTP/2/3 같은 현대 프로토콜에서 적극적으로 사용됩니다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itch, Router? Mac 주소, IP 주소? ARP? (0) | 2024.11.30 |
---|---|
TCP 빠른 재전송과 흐름제어 메커니즘 (0) | 2024.11.21 |
Forward Proxy, Reverse Proxy (0) | 2024.11.09 |
공개키? 개인키? (0) | 2024.11.08 |
HTTP/2.0 (0) | 2024.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