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키
공개키 암호화 과정에서 키 쌍으로 생성되는 키 중 누구나 공개 가능한 키로, 누구나 이 키에 접근 가능하다.
개인키
공개키 암호화 과정에서 키 쌍으로 생성되는 키 중 개인으 비밀키로, 절대 노출되어서는 안되며, 안전하게 보관되어야 하는 키다.
- 데이터 보안: 아래 시나리오는 공개키로 평문을 암호화 하고, 암호문으로 다시 개인키로 복호화 하는 과정
- 전자 서명: 개인키로 해시값을 암호화 하고, 암호화 된 해시값을 개인키로 복호화 하는 과정
전자 서명
위 2번의 시나리오에서는 해시값을 개인키로 암호화를 하고, 공개키로 복호화한다. 그렇다는 것은 모든 사람들이 나의 공개키로 복호화를 할 수 있다는 것인데 암호문을 모두가 복호화 한다면 무슨 이점이 있을까?
대칭키의 문제점 '부인'을 방지할 수 있다!
나의 개인키로 암호화 했기 때문에 나의 공개키로만 복호화 가능하다. 즉, 암호문을 본인이 암호화 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 것이다.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프라이닝 프로토콜 (0) | 2024.11.20 |
---|---|
Forward Proxy, Reverse Proxy (0) | 2024.11.09 |
HTTP/2.0 (0) | 2024.11.08 |
Http 상태코드 (0) | 2022.02.24 |
TCP 네트워킹(2) (0) | 2021.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