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uter
다른 네트워크 간 데이터를 보내려면 라우터가 필요하다. 라우터는 네트워크 장비 중 하나로,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데이터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Routing
라우팅은 데이터의 목적지가 연결된 네트워크를 판단하여, 올바른 경로의 라우터로 IP 패킷을 전달하는 동작입니다. 라우터가 전송하는 데이터는 TCP/IP 계층 중 인터넷 계층에 속하는 IP 패킷이며, 따라서 라우팅 동작은 인터넷 계층에서 수행됩니다.
라우팅의 동작 과정:
- 패킷 수신: 라우터가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받음.
- 목적지 주소 확인: 패킷의 목적지 IP 주소를 확인.
- 라우팅 테이블 조회: 라우터 내부의 라우팅 테이블을 참고하여 최적 경로를 결정.
- 패킷 전달: 결정된 경로를 따라 패킷을 다음 라우터 또는 목적지 장치로 전달.
Routing Protocol
라우팅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 패킷이 최적의 경로를 따라 목적지까지 전달되도록 라우터 간에 경로 정보를 교환하고 경로를 결정하는 규칙과 알고리즘입니다. 라우팅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네트워크 경로가 변경되더라도 데이터가 올바른 경로로 전달되도록 보장합니다.
라우팅 프로토콜의 역할
- 경로 정보 교환:
라우터들끼리 네트워크의 연결 상태와 경로 정보를 주고받습니다. - 경로 계산 및 선택:
- 가장 효율적인 경로(최단 경로, 지연 시간, 대역폭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를 계산합니다.
- 계산 결과를 기반으로 라우팅 테이블을 업데이트합니다.
- 네트워크 변화 반영:
네트워크 장애나 새로운 경로 추가 시, 라우터가 자동으로 경로를 재계산하여 패킷 전달을 유지합니다.
라우팅 프로토콜의 분류
- IGP(Interior Gateway Protocol)
- 자율 시스템(AS) 내부에서 사용하는 라우팅 프로토콜.
- 조직 내부에서 네트워크 경로를 관리합니다.
- 예:
- RIP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간단한 프로토콜로, 홉 수 기준으로 경로를 결정합니다.
- OSPF (Open Shortest Path First): 링크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 경로를 계산합니다.
- EIGRP (Enhanced 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거리 벡터와 링크 상태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프로토콜입니다.
- EGP(Exterior Gateway Protocol)
- 자율 시스템(AS) 간의 경로를 설정하는 데 사용.
- 인터넷 전체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예:
- BGP (Border Gateway Protocol): 인터넷에서 AS 간 경로를 설정하는 프로토콜로, 인터넷 라우팅의 핵심입니다.
'외부활동 > JSCODE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주차]ICMP (0) | 2024.11.29 |
---|---|
[5주차] NAT란 (0) | 2024.11.29 |
[5주차] IP, IPv4와 IPv6, IP 할당 기관 (0) | 2024.11.28 |
[5주차] 서브넷과 서브넷 마스크 (0) | 2024.11.27 |
[4주차] UDP Checksum (0) | 2024.11.21 |